prev/LINUX
-
우분투 방화벽 ufwprev/LINUX 2010. 5. 24. 18:23
ufw설치 apt-get install ufw 사용하기 ufw enable 사용하지 않기 ufw disable 전부막기 ufw default deny 전부 열기 ufw default allow 거부/허용 포트 ufw [deny/allow] 80 특정 아이피 포트 거부, 허용방법 ufw [deny/allow] from 58.181.36.141 to any port 21 특정 아이피 대역대 포트 거부 허용방법 ufw [deny/allow] from 58.181.36.1/24 to any port 21 삭제 할경우 ufw delete [추가할때 입력했던 구문] ex) ufw delete allow from 58.181.36.1/24 to any port 21
-
리눅스 파일 분할prev/LINUX 2010. 3. 31. 13:03
만약 linux.tar.gz 1G가 있을때, 100M단위로 분할를 한후 다시 합치는 방법입니다. $ split -b 100m current.tar.bz2 current $ cat current* > current.tar.bz2 다음은 tar+split명령을 이용하여 /bin 폴더의 모든 파일을 test.tar.gz이라는 파일로 분할 압축하는 명령이다. tar cvfz - /bin/* | split -b 1m - test.tar.gz tar cvfz - /bin/*는 /bin 폴더의 모든 파일을 tar.gz으로 압축하고 결과를 콘솔로 출력하는 명령이다. 아울러 split -b 1m - test.tar.gz은 콘솔로부터 입력 받은 데이타를 1M의 크기로 분할한 후 test.tar.gz라는 이름으로 저장하라는..
-
-
FTP passive modeprev/LINUX 2008. 11. 19. 11:58
결국 active모드를 사용하면 클라이언트측에서 20번포트로 전송하겠다 ~ 이건데 passive모드는 서버가 1023번 이상의 사용하지 않는 포트를 갈켜주면 (예:3333) 3333포트로 데이터 전송해라~ 이런거 같다. 그럼 결국 방화벽을 설정하면 21번포트는 열어놓겠지만 20번포트는 열어 놓지 않는다는 결론이며 그러므로 방화벽이 있으면 passive모드를 사용해야 한다는 것. 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 FTP 서버를 방화벽 내부에서 구동하려면 FTP connection type에 대한 이해가 필요하다. 이러한 원리를 이해하려면 TCP/IP, Firewall에 대한..
-
tar 리눅스 압축prev/LINUX 2007. 12. 27. 10:39
tar - GNU 버전 tar 저장 도우미 이 설명서는 tarfile 이라고 알려진 저장 파일을 묶거나 풀 수 있도록 만들어 진 GNU 버전 tar 저장 프로그램에 대한 설명이다. tarfile 은 테이프 드라이브에 저 장할 수도 있고, tarfile 을 일반적인 보통 파일로 쓸 수도 있다. tar 의 첫번째 인수로는 반드시 Acdrtux 중 하나의 옵션이 들어가야 하고, 다른 선택적인 기능이 덧붙여진다. tar 의 마지막 인수로는 압축될 파일이나 디렉토리의 이름이 오게 된다. 디렉토리 이름이 사용될 경우 언제나 하위 디렉토리가 함께 저장된다. 가장 많이 사용하는 일반적인 옵션 [압축할 때] tar cvzf 파일명.tar.gz 또는 파일 [압축 해제] tar xvzf 파일명.tar.gz [예제] tar ..
-
링크 lnprev/LINUX 2007. 12. 26. 09:14
[요약] 하드링크와 심볼릭링크에 대해 정리한다. 1. 하드링크 : inode에 연결된 메타 정보, 하드링크가 2개이면 파일에 접근할 수 있는 경로가 2개라는 의미로 모두 원본으로 한쪽을 지우면 모두 없어진다. 디렉토리에 하드링크는 불가능하다. 1.1 거는 방법 ln /etc/shadow /home/personal_info.txt 2. 심볼릭링크 : 단지 심볼(파일의 경로)안 가리킴, Ms windows의 단축아이콘 심볼릭 링크를 지워도 원본은 그대로 있다. 2.1 거는 방법 ln -s /etc/shadow /home/personal_info.txt
-
아파치 에러코드prev/LINUX 2007. 12. 22. 10:14
100 : Continue 101 : Switching protocols 200 : OK, 에러없이 전송 성공 201 : Created, POST 명령 실행 및 성공 202 : Accepted, 서버가 클라이언트 명령을 받음 203 : Non-authoritative information, 서버가 클라이언트 요구 중 일부만 전송 204 : No content, 클라언트 요구을 처리했으나 전송할 데이터가 없음 205 : Reset content 206 : Partial content 300 : Multiple choices, 최근에 옮겨진 데이터를 요청 301 : Moved permanently, 요구한 데이터를 변경된 임시 URL에서 찾았음 302 : Moved temporarily, 요구한 데이터가 변..